생활선 이해(묵조선)나는 하루동안 어떤 수행을 해야 하는가?홍주(洪州) 태안사(太安寺)의 주지는 경(經)과 논(論)을 강론하는 강사(座主)였는데 오직 마조스님을 비방하기만 하였다.하룻밤은 삼경(三更)에 귀신사자(鬼使)가 와서 문을 두드리니, 주지가 물었다.누구시오?귀신세계의 사자인데 주지를 데리러 왔다.내가 이제 예순 일곱인데 40년 동안 경론(經論)을 강의하여 대중들에게 공부를 하게 하였으나 말다툼만 일삼고 수행은 미처 하지 못했으니, 하루 밤 하루 낮만 말미를 주어 수행케 해 주시오.40년 동안 경론을 강의하기를 탐하면서도 수행을 못했다면 이제사 다시 수행을 해서 무엇에 쓰겠는가? 한창 목마른데 우물을 파는 격(臨渴掘井)이니, 무슨 소용이 있으랴.―《마조록(馬祖錄)》―이상의 이야기는 마조도일(馬祖道一..
돈황본 육조단경1. 序言 - 머리말혜능(慧能)대사가 대범사(大梵寺) 강당의 높은 법좌(法座)에 올라 마하반야바라밀법을 설하고 무상계(無相戒)를 주시니, 그 때 법좌 아래에는 스님·비구니·도교인(道敎人)·속인 등, 일 만여 명이 있었다.소주(韶州) 자사 위거와 여러 관료 삼십여 명과 유가(儒家)의 선비 몇몇 사람들이 대사(大師)에게 마하반야바라밀법을 설해주기를 함께 청하였고, 자사는 이윽고 문인 법해(法海)로 하여금 설법 내용을 모아 기록하게 하였으며, 후대에 널리 행하여 도를 배우는 사람들이 함께 이 종지(宗旨)를 이어받아서 서로서로 전수케 한지라, 의지하여 믿는 바가 있어서 이에 받들어 이어받게 하기 위하여 이 을 설하였다.2. 尋師 - 스승을 찾아감혜능대사는 말씀하셨다."선지식들아, 마음을 깨끗이 하..

불상제작 전문 해인석재석조불상 | 보살상 | 신장상나한상 | 석탑 석등 | 회사소개석조불상 석가모니불석조불상 석가모니불석조불상 석가모니불2008년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우측 편 봉안 좌대포함 3미터아미타불 대구 통천사 봉안약사여래좌불 7척 총높이 350cm 경기도 남양주 흥국사 봉안약사여래 총고 320cm 경주 안강 양동마을 봉안석가여래불 백화암봉안경기도 양주군 주내면 유양리 산 40번지석가여래불 백화암봉안경기도 양주군 주내면 유양리 산 40번지약사여래불 높이 6척 180cm 표면처리 정잔다듬약사여래불 높이 6척 180cm 좌대포함 3m비로자나불 높이 4자 황등석(호수매) 피부 마광처리석조불상 | 보살상 | 신장나한상 | 석탑 석등 | 회사안내Home | 양평원두막 | 조형물불교조각 | 조경석재 | 정원..

전국토에 화강암이 많이 분포되어 있어서 일지기부터 석조 문화가 발달했다. 무쇠로 정의 끝부분을 담금질하여 화강암을 부드럽게 조형한 선배들의 불상을 볼 때마다 어깨에서 흐르는 강함 힘을 느낄 수 있다.오늘의 한 사람의 석공으로서, 사학적인 측면보다 나와 불상과 둘만이 대면하는 자리에서 나오는 이야기를 앞으로 틈 나는 대로 엮어 나가고자 합니다. 여기에 올린 자료는 대부분 문화재 관리국 사이트에서 참고한 것이며 누락된 부분은 첨가하였고 아직도 완전히 국보나 보물 지방 문화재에 등록된 불상에 대한 정보가 일부 누락 되어 있거나 미흡한 점이 있습니다.석불: 국보 보물 시도유형문화재 석조문화재: 석굴암 석불 부도 석등 석탑

무념(無念)을 들어 종지로 삼고, 무상(無相)으로 본체로 삼으며, 무주(無住)로써 근본으로 삼는다.牧牛十圖頌1. 未牧生寧頭角恣咆哮하니 분( )走溪山路轉遙라一片黑雲橫谷口하니 誰知步步犯佳苗아높은산과 깊은 물, 그리고 우거진 숲--아무리 노력을 하여도 나갈 곳은 여전히 불분명하구나 !좌절감을 떨치려고, 매미울음소리를 듣는다2. 初調我有芒繩驀鼻穿하니 一廻奔競痛加鞭이라從來劣性難調制하야 猶得山童盡力牽이라가시덤불에 걸림: 희미하게 중얼거리는 듯한 시냇물 소리.그러나 여기저기 발자국이 있다 --- 이제 바른 길에 들어선 것일까 ?소의 코를 꿰어 묶고자 한다면 다른 사람의 힘에 의지하지 말라 !3. 受制漸調漸伏息분( )馳하니 渡水穿雲步步隨라手把芒繩無少緩하니 牧童從日自忘疲라봄바람에 흔들리는 버드나무가지 사이에서, 꾀꼬리가..
- Total
- Today
- Yesterday
- seon
- meditation
- 화두
- Zen
- koreanbuddhism
- 혜능스님
- 참선
- 명상
- 조사선
- 선원
- 석조불상
- zenmaster
- whadu
- buddhism
- 해인석재
- 묵조선
- Art
- 돈황본
- 간화선
- hwadu
- Koan
- buddhist
- sutras
- 화두선
- 조서선
- 시민선방
- 시민선원
- 선방
- 불교
- 촤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